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아웃라이어들이 창의적 산물 도출을 위해 지식을 쌓는 방법에 대한 정리

by 교육학자 2022. 5. 2.

창의적인 산물을 도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다름 아닌 지식입니다. 특출 난 두각을 보이는 아웃라이어들의 성공 비결과 지식을 쌓는 방법들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창의적인 산물을 도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지식

창의적인 산물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만들어낼 산물과 관련이 되어있는 영역의 지식을 탑재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입니다. 이유는 지식이 없이 무언가를 만들어낸다면 새로운 것이 탄생할 수 있을 수는 있지만 그 산물이 가치가 있거나 유용한 산물로 인정을 받을 수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창의성 교육에 꼭 필요한 것 중 하나가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 것입니다. 창의성 교육에 대해 말을 하면 공부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더 잘할 수도 있는 영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완전 오해가 있는 부분입니다.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식이 있어야 한다고 모든 학자들이 입을 모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지식은 본인이 스스로 창의적인 산물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반이라는 것입니다. 

 

 

특출 난 두각을 보이는 아웃라이어들의 성공 비결

어떤 영역에서 특출 난 두각을 보이는 사람들을 아웃라이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살펴보면 아웃라이어들의 성공 비결들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아웃라이어들이 말하는 성경의 비결 중 대표적인 것이 만 시간의 법칙, 10년의 법칙입니다. 꽤나 많이 알려진 이 법칙은 어떤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만 시간, 10년이 걸렸다는 것입니다. 어떤 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관련 영역의 지식들을 익히고 공부하며 고민을 하는 데 사용을 하기 된 것입니다. 창의적인 산물을 쌓기 위해서는 반드시 10년의 법칙처럼 어떤 영역에서의 지식을 쌓아가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아웃라이어들이 지식을 쌓는다는 것의 차이

다만 지식을 쌓는다는 의미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계속해서 암기를 하는 지식은 아닙니다. 우리가 흔히 공부를 잘한다는 아이들은 사회에 나오면 그다지 훌륭한 성과를 보이지 못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시험만 잘 보고 성적만 좋았지 사회생활의 실전은 머리로만 외운 지식을 단순 응용하는 문제들이 없습니다. 상황에 맞춰 응용하고 문제들을 닥쳤을 때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을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교과서의 지식이 아닌 살아있는 지식 습득 필요

이러한 부분은 교과서의 지식으로 해결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살아있는 지식이어야 하며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지식 이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어린 학생들이나 자녀에게 말해주어야 하는 부분은 교과서를 달달 외우는 지식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력이 필요하다고 말해야 하는 것입니다. 문제를 생각하고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는 고민하고 논의하여 실제 문제를 해결해가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지식이라는 것을 습득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지식에 대해 생각을 해볼 때 가장 효과가 좋다고 말합니다. 사고력 교육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인데, 교과성의 내용을 습득하여 생각해보게 하는 사고력 방법을 통해 새로운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제임스 카프만이 말한 창의 인성 교육과 창의성 교육 방법에 대한 정리

 

제임스 카프만이 말한 창의 인성 교육과 창의성 교육 방법에 대한 정리

제임스 카프만이 말한 창의 인성 교육과 창의성 교육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임스 카프만의 창의 인성 교육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이자 개인의 행복을 주는 역량, 영화같이

fuedu.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