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유아 정서와 사회성 발달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장점

by 교육학자 2022. 5. 10.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유아 정서와 사회성 발달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장점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유아 정서와 사회성 발달

자기 주도성과 자기 조절 능력 향상

유아 교육에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것은 아이의 정서와 사회성 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버튼을 눌러 작동을 시키게 되면 해당 페이지나 화면이 로딩이 되는 동안 기다려야 합니다. 기다리고 스스로 생각을 하여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성이 개발이 되고 자기 조절 능력도 향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긍정적인 교육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유아가 자신이 계획을 하고 실행하는 내적 통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점은 결과적으로 아이들이 긍정적인 자존감 형성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내적 통제와 외적 통제

내적 통제라는 것의 개념은 자신이 하고 있는 놀이나 자신이 하는 활동을 통해 본인 스스로 의사결정을 하고 놀이의 방향을 잡아가면서 유아 스스로 내적으로 통제하고 조절을 하고 있다고 믿고 생각을 하는 것이 내적 통제입니다. 반대로 외적 통제의 개념은 유아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 아니라 외부 누군가의 명령이나 지시에 따라 통제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외적 통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내적 통제가 유아가 긍정적인 정서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가지고 있는 장점

영유아의 호기심 자극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영유아가 신기하고 새로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활용을 하면 훨씬 더 큰 교육 효과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클레멘트라는 학자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수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실험 연구를 했던 학자입니다. 직접 아이들과 교육 실험을 하면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가장 좋은 효과를 주는 영역을 연구했는데, 특히 컴퓨터 영역을 제대로 운영을 하게 되면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훨씬 높게 발달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밝혀냈다고 합니다.

 

클레멘트의 교육 실험 결과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이 유아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키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또래 친구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서로가 하고 있는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묻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동과 관련한 정보 교류가 일어나며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이 개발된다는 것입니다. 클레멘트의 교육 실험 중 유치원에서 조용한 아이로 특별히 눈에 띄지는 않던 아이가 컴퓨터 영역에서는 다른 또래 유아들에게 알려주고 활동을 도와줄 정도로 유능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아이는 컴퓨터 영역에서 도우미와 같은 역할을 맡아 다른 친구들이 매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맡아 친구들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가 되면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게 되는 사례도 있었다고 합니다. 

 

유아 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의 신체 발달과 언어 발달 측면에서의 찬성 의견

 

유아 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의 신체 발달과 언어 발달 측면에서의 찬성 의견

유아 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의 신체 발달과 언어 발달 측면에서의 찬성 의견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아 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찬성 의견 신체 발달 측면 유아 교육을 위한

fuedu.tistory.com

 

디지털 테크놀로지 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것 자체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보다 더 중요한 관건은 결과적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이냐는 측면입니다. 긍정적인 부분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육적으로 활용을 하게 되면 유아들의 유의미한 발달과 교육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결과로 이어지겠지만 교육적으로 의미가 없게 폐쇄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결과적으로 유아의 발달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입니다. 사실 이 부부는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아니더라도 장난감과 같은 교보재만 사용해도 이런 잘못된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문제는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