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입, 과정, 산출의 영재교육 시스템과 스턴버그의 영재성 정의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입, 과정, 산출의 영재교육 시스템
영재교육 투입 단계의 정의와 세부내용
영재교육 시스템은 투입, 과정, 산출의 시스템으로 볼 수 있는데, 투입은 영재교육이 가지고 있는 이념과 목적으로 설명이 됩니다. 교육대상자를 누구로 설정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서 영재성이 어떤 것인가를 고민하게 됩니다.
영재교육 과정 단계의 정의와 세부내용
다음은 영재성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발굴하게 되면 이들에게 어떤 것을 제공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무엇을 교육할 것인지, 어떻게 교육하고 평가를 할 것인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속진과 심화로 나눌 수 있는데, 관심별, 능력별로 다양한 집단을 편성하고 인턴십과 멘토링과 같은 교수법을 적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교육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가장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키워드는 창의성입니다. 영재성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영재교육과정을 통해 창의성을 발휘하도록 어떻게 지원을 하는 것이 좋을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영재교육 과정입니다.
영재 교육 산출 단계의 정의와 세부내용
산출 단계에서는 영재성을 타고난 학생을 선발하여 가지고 있는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교육을 하면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산출물을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시스템 관점에서는 영재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본인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영역에서 창의성을 발휘하여 최고 수준의 사람으로 성장하는 산출물을 내야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 아래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스턴버그의 영재성 정의
영재교육의 첫 단계인 영재의 정의
영재교육을 시작하기 위한 첫 단계는 영재가 누구인지 정의하는 것부터입니다. 영재성은 무엇인지 영재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의를 하는 것입니다. 세계의 많은 영재교육 전문 학자들은 렌줄리가 설명한 영재성을 세 가지 고리 모형에 동의를 합니다. 평균 이상의 지적능력과 창의력, 과제 집착력입니다. 이 3가지 특성에 더하여 수학, 과학 영역의 특성을 상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영재교육 학자 중 한 명이 가드너는 영재성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인 정의를 내렸는데, 다중 지능 이론으로 영역별로 타고난 사람들에 대한 특성을 설명해 두었습니다.
분석적, 실천적, 창의적인 삼원 지능 이론
스턴버그의 경우 영재성을 한 단계 더 나아가 삼원 지능 이론이라는 것을 만들어 제안했는데, 분석적, 실천적, 창의적 지능이 함께 어우러지면 성공지능이라고 설명을 합니다. 이러한 성공지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본인의 장점을 잘 활용하고 약점을 보완할 줄 아며, 성공을 위하여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재 교육은 이러한 성공 지능을 어떻게 개발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합니다.
성공지능을 활용한 지혜 개발
스턴버그의 내용은 지혜와도 연결을 시키는데, 영재성의 개념은 높은 지적능력과 창의성, 과제 집착력을 넘어 지혜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발전합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면 지혜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익을 균형적으로 반영하는 공익을 추구하는 것에 가치를 두는 암묵적인 지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차원의 인트라나 개인과 개인의 상호작용인 인터, 나아가 환경 맥락에서 컨텐츄럴 3단계의 과정을 거치며 공익을 추구할 줄 아는 능력으로 영재성에 대해 설명을 합니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 영재로 교육을 시키는 것이 영재교육이 추구하는 방향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교육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니엘 핑크가 말한 미래사회 능력인 디자인, 스토리, 조화, 공감, 유머 (0) | 2022.04.18 |
---|---|
가드너의 지능이론에서 말한 미래사회에 필요한 5가지 마인드 (0) | 2022.04.14 |
1995년 대대적인 교육법 개정과 영재교육 진흥법, 영재교육 법제화의 필요성 (0) | 2022.04.08 |
교육 관계법의 성격과 영재교육 및 교육법의 특성과 영재 교육 진흥법의 특성 (0) | 2022.04.07 |
영재교육진흥법의 주요 쟁점인 설립목적에 대한 명확한 규정, 대학과의 연계 등 정리 (0) | 2022.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