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학습 내용의 조직화 및 계열화 필요성과 방법론 정리

by 교육학자 2022. 2. 14.

학습내용을 조직화하고 계열화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을 잘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학습내용을 조직화하고 계열화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학습내용의 조직화 및 필요성 정리

학습내용의 조직화와 계열화 정의

우리가 학습자들이 이해해야 하는 부분을 잘게 나누어 놓은 학습내용을 어떤 식으로 조직화하고 계열을 만들어서 학습자들에게 제공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학습내용의 조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습내용의 조직화와 계열화는 많은 하위 기능으로 잘려 있는데, 이 잘라 놓은 내용들을 골라서 묶음으로 만들어 두고 순서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하는 것입니다. 

 

 

학습내용의 조직화와 계열화 원리

일반적으로 학습 내용의 계열화나 학습 내용을 구성하는 원리는 복잡하지 않습니다. 이미 지금까지 우리가 겪어왔던 교육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숙지가 되어 있는 것들입니다. 보통 교사가 무언가를 가르칠 때 단순한 내용부터 복잡한 내용으로 가게 됩니다. 기본적인 인간에 대한 이해와 정보처리 과정을 기반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최초에 가르치는 과정에서는 아주 대표할만한 내용과 전형적인 내용에 가까운 것을 일단 학습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전형적인 내용을 학습한 후에 예외적인 것이나 특수한 것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학습내용의 조직화와 계열화 필요성

저차원적인 낮은 기능을 요구하는 학습에서 차후에는 고차원적이며 높은 기능을 필요로 하는 활동으로 갑니다. 이것이 학습내용 자체를 계열화하고 조직화하는 가장 기초적이 방식입니다. 다만 이러한 계열화와 조직화에서 꼭 고려를 해야 하는 부분이 학습자들의 특성을 기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예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구체적인 경험을 겪은 이후에 추상적인 경험을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보통의 원리입니다. 하지만 직접 만져보고 체험하는 등의 구체적인 경험이 더 좋은 것은 학습자의 인지적인 수준이 낮은 경우, 연령이 적은 경우에 훨씬 더 효과가 좋습니다. 

 

하지만 만약 학습자들이 영재 학습자들이거나 아니면 이미 성인이 된 학습자들이고 충분한 인지능력을 보유한 능력 있는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말로 설명을 해주면 될 것을 굳이 모형을 가져와 이리저리 만져보고 견학을 가는 학습 방법을 굳이 선택할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계열화에 있어서 구성 원리는 일반적으로는 이렇지만 본인의 학습자가 가진 특성을 생각해보고 어떤 부분들을 약간씩 조정하여 맞춤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학습내용의 조직화 및 계열화 방법론

주제 중심 계열화와 나선형 계열화

조직화의 원리에 대해서는 학습 내용을 계열화시키는 가장 큰 두 가지 주요 특징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주제별로 나누는 것입니다. 첫 번째 주제에 대해 쉬운 것, 중간 난이도, 어려운 난이도를 다 학습하고 그다음 두 번째 주제로 넘어가게 됩니다. 두 번째는 쉬운 난이도, 중간 난이도, 어려운 난이도를 배우고 다른 세 번째 주제로 넘어가게 되는 식으로 배우는 학습 내용 계열화 방법을 나선형 계열화라고 말합니다. 주제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주제는 각각 다르나 난이도를 올려가면서 나사못의 밑동을 타고 올라가는 듯한 느낌으로 학습을 하기 때문에 이 주제 중심 계열화를 나선형 게 열화라고도 얘기를 합니다. 

 

나선형 계열화의 예시

나선형 계열화가 많이 사용되는 과목으로는 수학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때문에 배웠던 것을 떠올려 본다면 한자릿수 더하기를 먼저 배우고, 다음은 한 자릿수 뺄셈, 그다음은 두 자릿수 덧셈, 그다음은 두 자릿수 뺄셈 이런 식으로 점점 수준을 높여서 올라가게 됩니다. 다양한 종류를 배웠지만 낮은 수준을 먼저 하고 다음은 중간 수준, 그다음은 높은 난이도로 올라가는 나선형 계열화의 방식으로 공부를 해왔습니다. 나선형 계열화는 보통 학습자의 인지 발달 수준을 생각하여 학교 교육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나선형 교육 과정을 깁나으로 학습 내용을 계열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제 중심 계열화의 예시

주제 중심 계열화에는 어떤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을 하고 다른 주제로 넘어가 공부를 하는 방식으로 특별반이나 과학 심화반 같은 곳에서 경험해본 방식입니다. 어떤 방식이 더 나은지에 대해서 정의를 해두었다기보다는 계열화를 학습자의 발달 수준 또는 학습자들의 특성에 맞춰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두 가지 계열화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학습자들이 가장 쉽게 이해하고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