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구성주의 학습 특징과 실제 수업에서 적용 방안에 대한 정리

by 교육학자 2022. 2. 9.

구성주의는 현대 학습을 논하면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인데요.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의 특징이 무엇인지, 구성주의 학습을 진행하는 적용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주의의 정의와 예시

구성주의와 행동주의, 인지주의와의 차이점

구성주의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언뜻 어려워 보이는 이 단어는 교육 학습에서 사용되는데,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라고 불리는 이론들과 약간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행동주의가 인간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인지주의는 인간의 고등 정신에 대한 초점을 맞춥니다.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는 객관적인 지식이 외부에 있다고 판단하는 객관주의 학습이론입니다. 

 

구성주의 개념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의 특징

하지만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은 이들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지식이라고 하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있을 수 없다고 보는 것이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의 기본 가정이 됩니다. 객관주의적인 지식관을 가지지 않고 주관주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의 예시

예를 들어 한 명의 학습자가 대도시에서 자라면서 사과에 대해 사과는 항상 반들반들하고 빨갛고 예쁘다고 생각하며 다양한 색깔이 있는 사과를 보면서 자란 학습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 동시에 다른 학습자는 완전히 부사를 재배하는 과수원에 자라면서 사과에 대해 전반적인 모습들을 보고자란 사람이 있다고 해봅시다. 이 두 사람이 생각하는 사과에 대한 본인들의 지식은 전혀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도시의 마트에 진열되어 있는 사과 만들을 본 학습자는 벌레도 하나 없고 동그랗고 맛있게 생긴 반들반들한 사과만을 떠올리겠지만, 농약을 많이 뿌리고 벌레가 잘 먹고, 냉해 피해를 당하기도 하는 이런 식의 학습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실제 학습의 적용 방안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 작용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것은 이렇게 지식에 대한 부분은 객관적으로 외부에 딱 만들어진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만들어가도록 하는 것입니다. 만약 위에서 설명드린 두 사람이 어느 날 우연히 만나서 사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고 한다면 서로가 생각하는 사과에 대한 개념이 달라서 이야기를 하면서 기존의 지식을 조금씩 수정해나가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것입니다. 

 

이 것처럼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지식관은 기본적으로 주관적인 지식이며 학습자가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며, 외부에 존재하는 것을 그저 받아들이는 것을 학습으로 보지 않습니다. 구성주의에서는 새로운 경험을 하고 대화를 하면서 지식을 조금씩 가꾸어 나가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구성주의 학습 정의

 

구성주의에서의 학습 방안

우리가 일반적으로 학교 교육을 생각해볼 때 앉아서 팔짱을 끼고 듣고만 있으면 학습을 했다고 생각해주는 시대를 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교육 패러다임에서는 결고 이런 것들을 학습이 일어났다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부분들이 강조가 되면서 최근 우리 교육에도 구성주의에서 주장하는 학습이론이나 지식관을 매우 강조하는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교육자들은 구성주의에서 말하는 학습자가 자신만의 지식들을 구축해나가고 새로운 환경에 나아가고 경험을 해보면서 본인의 지식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거치는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주는 것이 필요한 것인가를 깊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구성주의 학습 효율성 강화 방안

계속해서 강조가 되는 것이 학습자를 새로운 환경에 노출시키고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어떤 환경이 학습자들에게 학습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일지를 고민해봐야 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는 절대 교수자 중심이 아니 여야 합니다. 교수자가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해주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무언가는 참여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게 만드는 환경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렇게만 한다면 학습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본인과 똑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거나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면 학습이 조금 더디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유는 당연할 것입니다. 다양한 경험과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만나 경험들이 공유되고 기존에 알고 있었던 어떤 것에 대한 지식의 구성이 조금 다를 수 있구나를 생각하면서 수정하며 재구성을 해야 하는데, 동일한 경험이나 지식을 가진 사람들만 만나게 되면 이를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최근 구성주의 학습 적용 트렌드

 

인지적인 갈등 개념 이해

이를 인지적인 갈등이라는 전문용어로 설명이 되는데, 인지적인 갈등은 나와는 다른 생각이나 사고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불일치를 경험하게 되고 인간은 기본적으로 다시 평행화를 맞추고자 합니다. 그래서 본인의 지식을 외부에 끼워 맞추거나 외부의 것을 나에게 맞추어 생각을 하는 동화와 조절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개념처럼 기존에 자신이 경험하지 못했던 다른 학습 환경과 다른 사고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새로운 환경이 제공될 때 학습이 훨씬 더 잘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 구성주의의 관점입니다. 

 

구성주의 학습환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