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론

학습 결과의 유형화와 구분을 통한 학습 방법 분류의 필요성

by 교육학자 2022. 2. 8.

학습 결과에는 유형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학습결과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학습 방법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학습 결과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그 유형에 따른 학습 방법은 어떻게 나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결과의 유형화

학습결과를 구분한 로버트 가네

학습 결과, 러닝 아웃컴(Learning Outcome)이라는 말은 로버트 가네라는 사람이 교사가 무엇을 가르치는가를 물었을 때 학습결과라는 말을 가르치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한 것입니다. 교사가 가르친다고 하는 건 다른 말로 한다면 학습자들이 학습을 거친 이후에 어떤 결과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그래서 학습 결과라고 이름을 붙인 이후 학습 결과의 유형을 분류하게 됩니다. 

 

학습결과 구분의 필요성

학습이 일어난 이후 학습 결과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학습자들이 어떠한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교수자가 그것에 맞춰서 교수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어떤 모습으로 학습결과가 나와야 한다면 교수자는 그런 모습에 맞추어 교수를 진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 결과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수업에 필요한 특수 조건을 결정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로버트 가네가 말했습니다. 

 

학습 결과의 구분

언어정보 유형의 정의와 특징

그렇다면 학습 결과에 유형은 어떤 것이 있는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언어정보 유형입니다. 언어정보의 유형을 쉽게 생각하면 사물의 이름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무엇을 안다고 했을 때 학습자가 이름값으로 알고 있는 것을 언어정보 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학의 원소 기호 이름이나 과학에서 어떤 것을 정의할 때 외우게 되는 것을 예를 들 수 있습니다. 

 

이렇듯 어떤 것에 대한 명제적인 지식, 선언적인 지식 등 이름값을 알게 되는 것을 언어 정보라고 합니다. 교사가 가르쳐야 하는 것, 학습자의 입장에서 배워야 하는 것에는 필수적으로 언어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가장 많이 요구하고 요구받았을 외우고 암기하는 학습법 위주의 학습입니다.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한국의 암기식 교육은 잘못되었다고 들어왔고, 무조건 외우게만 시키는 한국 교육은 문제가 많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말은 분명 어느 부분에서는 잘못된 말이긴 하지만 동시에 어떤 부분에서는 꼭 그렇지도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과는 영어로 Apple입니다. 사과가 영어로 Apple인 이유 있을까요? 없습니다. 사과는 그냥 Apple이며 이름값이기 때문에 외울 수밖에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언어정보는 외울 수밖에 없다는 결론인 것입니다. 

 

 

지적 기능 유형의 정의와 특징

하지만 위의 언어 정보 외에 다른 유형의 정보도 암기식으로 접근을 하기 때문에 한국 교육이 문제라고 얘기를 하는 것인데, 두 번째 유형인 지적 기능 유형입니다. 지적 기능 유형은 어떤 방법적인 지식이나 절차적인 지식에 관한 것인데, 무엇을 변별하고 규칙이나 원리에 대해 학습하고 개념을 규정하는 등의 학습을 지적 기능 유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학습에 있어서는 무조건 외워서 학습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지적 기능 유형에 해당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속성 값의 이해를 통해 구분하고 이를 통해 우리가 이해를 해야 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원리를 받아들이고 규칙을 알고 있어야 제대로 된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외우 고만 있다면 그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할 수 없는 죽은 지식이 되는 것입니다. 

 

학교 교육이나 일반적인 교육에 있어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유형이 지적 기능에 해당하는 것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적 기능 유형에 대한 학습을 올바르게 수행하고 적절한 학습 과정을 통해 제대로 본인의 것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학습 결과 구분의 적용

수업 내용에서의 정보 구분과 학습방법 분류

결과적으로 이러한 학습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 방법을 구분하고 적절한 교수법을 통한 제대로 된 학습 전략을 수립하여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이번에 가르쳐야 할 내용이 지적 기능 유형에 해당하는 것인데, 언어 정보를 다루듯이 무조건 암기를 학습자들에게 시키는 것은 결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수업을 실행하기 전 오늘 학습자들에게 전달하여야 하는 정보들을 정리하고 이 것을 어떻게 유형화할 수 있을지를 깊게 고민하여 구분하고 각각에 맞는 전략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알맞은 수업을 구상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