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자의 뇌에 대한 연구와 스마트기기가 영유아의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유아의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의 지나친 사용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의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의 지나친 사용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의 단계에서 스마트 기기의 지나친 사용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유아와 스마트 기기 현대 사회에서 영유아들은 자연스럽게 디지털 기기를 접하면
fuedu.tistory.com
인터넷 중독자의 뇌에 대한 연구
인터넷 중독자의 뇌에 대한 연구를 했을 때 인터넷 중독자의 뇌 구조와 일반인의 뇌 구조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플로스원이라는 학술지에 게재된 이 연구는 하루 10시간 이상 인터넷을 하는 대학생 18명과 하루 2시간 미만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대학생 18명을 비교하는 실험이었습니다.
두 그룹을 대상으로 뇌를 MRI 촬영을 해본 결과 인터넷 중독인 사람의 뇌의 경우 사고와 인지를 담당하고 있는 전전두엽의 크기가 크게 감소한 상태인 것이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전측 대상 피질의 크기 감소와 기능 저하
전전두엽의 크기가 감소했다는 것은 전전두엽의 기능이 약화되었거나 정상작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또한 전전두엽의 전측 대상 피질이라고 불리는 사람이 어떤 판단을 내리고 결정하고 동기부여를 해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 있습니다.
인터넷 중독에 빠진 사람들은 이 전측 대상 피질 역시 크기가 작아지거나 뭉툭해진 모습이 관찰되었는데, 이 역시 전측 대상 피질이 해야 하는 역할의 비중이 줄어들고 기능도 원활하게 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배외 전전두엽의 크기 감소와 기능 저하
또 행동 제어와 기억을 담당하고 있는 배외 측 전전두엽이라는 부분도 일반 사람들이 정교하게 뇌에 주름들이 생긴 것이 관찰되는 반면 주름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크기도 일반 사람들에 비해 상당히 작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전두엽의 크기가 감소했다는 것을 통해 우뇌, 좌뇌의 원활한 교류가 제한을 받게 되고 전반적으로 영유아의 뇌 발달 자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좌뇌와 우뇌의 연계 동작이 점차 어눌해지고 조절이 어렵게 되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뇌가 주름이 없고 뭉툭하며 해당 영역의 크기가 매우 작다고 한다면 뇌 전반에 일부 기능이 감소되면서 시냅스가 아예 사라지게 되는 경우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
인터넷 중독자의 뇌와 코카인 중독에 빠진 사람의 뇌
충격적인 사실은 이러한 인터넷 중독자의 뇌의 모습은 코카인에 중독이 된 사람이 가지고 있는 뇌의 모습과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영유아 시절의 인터넷 중독은 뇌 발달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때 부모님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모습을 많이 보면 아이들 역시 부모님처럼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싶어 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하면 아이 앞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유아 시절에 유아들에게 무엇이든 시도를 해볼 수 있게 하고 영유아가 하는 행동의 모든 것이 가치가 있고 의미가 있다는 메시지를 계속해서 전달하게 된다면 아이는 지금보다 훨씬 나은 사람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더 나은 모습을 꿈꾸며 정진하게 될 것입니다.
'교육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교육을 위한 인형극 창작 활동과 콘텐츠 선정 시 주의사항 (0) | 2022.07.13 |
---|---|
유아의 언어 교육의 방향성과 이에따른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 방안 (0) | 2022.06.21 |
23년 전통의 뉴엠원격평생교육원 장점, 성과, 혜택 등 정리 (0) | 2022.06.07 |
스마트 기기 활용 목적을 올바르게 해야 하는 이유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0) | 2022.05.31 |
영유아의 디지털 기기 사용과 관련한 팩트 4가지 (0) | 2022.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