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플레 감축법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전기차 대장주라고 할 수 있는 비야디(BYD)의 주가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중국 전기차를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중국의 전기차 산업 발전에 대한 견제책을 펼치고 있지만 중국의 전기차 실적 전망 상향 추세가 꺾이지는 않는 모양새입니다.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인플레 감축법과 BYD
인플레 감축법 주요 내용
미국 인플레 감축법의 하원 통과와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이 이루어진 12~17일 사이 BYD의 주가는 5% 정도 상승했습니다.
미국이 세액 공제 대상 설정을 미국 내에서 생산된 차로 한정한다는 서명을 하면서 중국의 전기차는 더 이상 미국 시장에서의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시장의 반응
하지만 시장은 이러한 상황을 악재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단 중국 내수시장에서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가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실제 BYD의 전기차 판매는 대부분 내수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
중국 전기차 시장 확대와 BYD의 중국 시장 점유율
중국의 전기차 시장 현황
시장조사업체인 트렌드포스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에서의 전기차 판매량은 56만 4천대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124%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판매량 중 BYD의 월간 점유율은 29%로 전체 전기차 브랜드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렇듯 전기차 판매량이 높은 상승세를 보이자 중국승용차협회(CPCA)는 올해 중국에서의 전기차 연간 판매량에 대한 전망치를 기존 550만 대에서 600만대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또한 상향 조정함과 동시에 중국에서의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예측보다 빠르기 때문에 4분기에 전망치를 상회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BYD의 시장 점유율
다른 조사기관 역시 올해 중국 전기차 판매량이 600만~650만 대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최소 예상치인 600만 대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이 예상 판매량은 작년 대비 82%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렇듯 중국의 전기차 시장 확대와 함께 중국 내 시장 점유율 1위인 BYD의 성장세 역시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BYD의 전기차 시장 대비 현황
신규투자 현황
또한 BYD의 신규 투자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BYD는 중국 최대 리튬 매장 지역으로 알려진 장시성 이춘에 5조 원가량의 자금을 투입해 신규 배터리 공장을 지을 것이라 밝혔습니다.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해외진출 준비 현황
또한 수출에 있어서 미국 외 시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BYD는 올해 10월 열릴 예정인 파리 모터쇼가 참가 의사를 밝혔으며, 4분기부터는 전기차를 유럽에서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태국 시장 진출에 대한 부분도 공식적으로 선언했는데, BYD는 앞서 방콕에서 브랜드 론칭 행사를 개최하며 태국 승용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습니다.
'교육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와 잭슨홀 미팅 예상 내용과 증시전망 (0) | 2022.08.22 |
---|---|
원달러 환율 연고점 경신 글로벌 달러인덱스 상승 원인 (0) | 2022.08.19 |
한국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우려와 기준 충족여부 정책 제언 정리 (1) | 2022.08.17 |
신한금융그룹의 한화손해보험 인수 추진 이유와 가능성 정리 (0) | 2022.08.16 |
노틸러스의 지식교양 웹툰 서비스 이만배(이걸 만화로 배워?!)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