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적용

대표적인 창의성 향상 기법인 시네틱스에 대한 정의, 개인적 및 직접적 유추의 활용 방법

by 교육학자 2022. 3. 4.

대표적인 창의성 향상 기법인 시네틱스에 대해 정의하고 실제적인 시네틱스의 방법인 개인적 유추와 직접적 유추의 활용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인 창의성 향상 기법, 시네틱스

시네틱스의 정의

창의성 향상 기법은 지금까지 50개 정도의 기법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창의성이 중요시되는 4차 산업 혁명시대에는 더 많은 창의성 개발 기법이 등장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개발된 창의성 개발 기법 중 대표적인 것이 시네틱스입니다. 시네틱스는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는 두 가지 이상의 것을 연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련이 전혀 없는 두 개를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고 의미를 찾아내는 기법이 시네틱스입니다. 시네틱스는 혼자서도 할 수 있고 여러 명에서 같이 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5~6명이 함께 그룹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효과적인 시네틱스 구현을 위한 낯선 것을 친숙하게 바라볼 수 있는 마음 필요

시네틱스를 잘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를 잘해두어야 합니다. 일단 낯선 것을 친숙하게 적응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처음 보는 문제가 많을 텐데 이러한 문제들을 너무 낯설다고만 느끼면 해결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너무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처음 보는 것들이라도 이미 알고 있는 것처럼 받아들인다면 문제가 더 쉽게 해결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본인이 미리 알고 있는 내용과 비슷하게 만들어 가는 것을 낯선 것과 친숙해지기라고 말하는데 이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위한 친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 필요

동시에 반대로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새로운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해 친숙한 내용을 낯설게 바라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친숙한 내용을 그대로 알던 상태 그대로 넘겨버리면 그 안에 문제가 있더라도 그냥 넘어가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를 찾아가는 과정처럼 친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볼 때 그 안에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개인적 유추의 정의와 예시

개인적 유추 정의

시네틱스는 4가지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개인적 유추, 상징적 유추, 직접적 유추, 환상적 유추 이렇게 4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많이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개인적 유추와 직접적 유추입니다. 개인적 유추는 혼자 문제라고 여기는 것이나 그룹으로 진행할 때는 모든 그룹원들이 문제라고 여기는 것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문제의 한 부분으로서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연필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문제점을 생각해보자

예를 들면 학용품 회사 사람들이 본인이 연필이 되었다고 가정한 뒤 연필으로써 어떻게 활용도를 올릴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학생들이 입에 물기도 하니 연필심의 안 좋은 성분이 학생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해야겠다는 고민을 해내기도 했다고 합니다. 학용품 회사는 연필심의 강도를 높이고 아이들이 입에 대더라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고안해냈다고 합니다. 또한 연필깎이도 이러한 과정 아래서 개발이 되었다고 합니다. 

 

 

직접적 유추의 정의와 예시

직접적 유추 정의

직접적 유추는 주변을 관찰하면 보이는 사물들이 많은 데 지식이나 사실, 기술이 실제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바라보면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옮겨가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본인이 경험하는 것을 관찰하면서 그것에 대해 분석하고 반성하고 다시 다른 문제에 적용을 해보는 과정을 직접적 유추라고 합니다.

 

 

풀에 손을 베이면서 생각한 톱의 원리

오래된 예시가 있는데 노반이라는 나무꾼이 산에서 나무를 베는데 톱이 없던 시절이라 도끼를 이용하여 나무를 베고 있었다고 합니다. 어느 날에는 나무를 베다 지쳐 산에서 내려오는 과정에서 풀에 손을 베였다고 합니다. 이때 노반은 풀에 어떻게 손을 벨 수 있을까를 생각하게 되었고 도끼를 만드는 쇠로 풀 모양을 만들면 나무를 쉽게 벨 수 있지 않을까 고민하게 되었고 이런 원리로 톱이 발명됩니다. 

 

 

주변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발명한 갑 티슈 개발과정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갑 티슈도 티슈를 한 장 뽑으면 다음 티슈가 반쯤 나오는 아이디어를 소똥이나 말똥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소똥이나 말똥이 갑 티슈처럼 겹쳐져 나오는데 이것을 보면서 그대로 직접 구현한 모양이 현재의 갑 티슈 모양이라고 합니다. 지그재그 형식으로 얽혀 있는 모습으로 만들어 우리가 편리하게 사용하는 갑 티슈가 만들어졌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