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 트렌드인 STEM과 Project lead the way 프로그램, 미국과 핀란드의 교육과정 방안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교육 트렌드인 STEM
최근 교육의 트렌드는 교과서 중심의 교육이 아니라 졸업 직후 현장 능력이나 대학에서의 문제 해결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 지식을 가지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과학, 기술, 수학, 공학을 가르지는 STEM 접근 교육이 시작된 것인데, 공학이나 기술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수학이나 과학 같은 기본적인 교과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나중에 실제적인 문제를 대면할 때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이 있어 상당한 투자를 통해 STEM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STEM에 예술을 추가하여 STEAM이라고 합니다. 예술에 대한 민감성, 창의성, 융통성을 합하여 가르치는 접근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STEM을 위한 Project lead the way 프로그램
STEM을 처음 시작한 것은 미국이지만 STEM 교육 방식은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방과 후 활동이나 교과활동에도 많은 부분이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Project lead the way라는 프로그램이 STEM 교육방식으로 적용이 되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일반 수업이나 방과 후 수업에서 다양한 공학 지식, 특정 교과 관련 지식을 프로젝트 기반으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체험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예비 공학자로서 공학적 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향상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의 IT 기술 교육 방식 도입 장려
또한 미국에서는 IT 장비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들을 세우고 있습니다. 국가 교육 공학 계획이라는 것을 만들어서 제시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IT 강국으로서 학교에 다양한 IT 교육 방식 도입을 위해 폭넓게 활용을 하고 있지만 미국의 경우 이상적이라고 느낄 수 있는 점이 IT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국가의 정책적인 이슈로 두고 추진을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벌써 2010년에 국가 교육 공학 계획을 수립하여 적용 계획을 수립했고 2016년에도 다시 국가 교육 공학 계획에 포함하여 IT 기술을 통한 교육 효과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교육 과정에서의 IT 기술 활용방안
학생들이 학교에서 학습을 하는 형태 모형에서 선생님이 직접 가르치는 수업 방식 개선을 위한 부분과 리더십 인프라에 초점을 맞추어 IT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의 질을 어떻게 제고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마지막에 각 사항에 대해 학교 점검을 실시해야 하고 Recommendation이라고 하여 교육 공학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습니다. 학습 관련 Recommendation은 모든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한 학습 체제를 만들 수 있도록 IT 기술을 포함한 학습 자원을 개발하고 시행을 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미연방 정부 차원에서 제안한 이 내용을 바탕으로 각 주에서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구체적인 정책을 만들어 낼 것이며 학교와 교육청에서 실질적인 적용 방안을 만들 것입니다. 구체적인 예시로 BYOD(Bring Your Own Device)를 말할 수 있습니다. 모든 학교에 최신 디지털 IT 기기를 설치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장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학교에 가지고 오도록 하여 수업에 적극 활용하도록 장려하는 것입니다.
핀란드의 교과 과정 방안
핀란드에서는 2016년도에 이와 비슷한 새로운 교과과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핀란드의 교과과정에도 핵심은 역량기반과 융합 교과 교육이 있었습니다. 핀란드에서는 7가지 역량 개발을 강조하는데, 1) 사고 기술, 2) 문화적 이해, 3) 상호작용, 4)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 5) 다중 리터러시 디지털 역량, 6) 직업생활에 대한 기본적 기능, 7) 미래를 위한 책임감입니다. 이러한 7가지 역량을 교과 안에 반영을 할 것이라고 말하며 이렇게 하기 위해 주제에 따라 여러 교과 과정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해 제안하고 있습니다.
'교육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과 관련한 법적인 쟁점과 교육 관계법의 주요 특성에 대한 정리 (0) | 2022.03.20 |
---|---|
영재교육 과정 디자인 방향, 수학에 특출난 재능을 가지고 계셨던 김웅용 선생님의 이야기 (0) | 2022.03.16 |
소설과 영화에서 그려 현실이 된 미래 모습과 제임스 카프만의 창의성 구분 (1) | 2022.03.08 |
대표적인 창의성 향상 기법인 시네틱스에 대한 정의, 개인적 및 직접적 유추의 활용 방법 (0) | 2022.03.04 |
칸 아카데미가 우리 교육에게 주는 시사점과 우리 교육의 발전 방향 (0) | 2022.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