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의 잭슨홀 미팅 연설에 대한 경계가 있지만 경제지표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수치들이 나오고 있어 증시가 다시 상승추세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가 상승 요인
주가가 이틀 째 상승하고 있습니다. 어제 다우지수 30은 전장보다 0.98% 상승했고, S&P500 지수는 1.41%, 나스닥 지수는 1.67% 상승하며 좋은 분위기를 이어갔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잭슨홀 연설에 대한 경계를 가지면서도 경제 지표들이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고 있어 파월 의장도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은 연설 내용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연준 위원들의 기준 금리 인상 관련 발언
이날 연준 위원 4명 중 3명이 9월 금리 인상폭에 대한 언급을 하기에는 아직 시기적으로 이르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아직 앞으로 한차례 더 물가 보고서와 고용 보고서가 발표될 예정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의 고점을 통과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지표들을 추가로 볼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연준 위원 중 3명의 입장과 파월 의장의 입장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분석됩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의 주장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월스트리트 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급등세가 고점에 도달했다고 보기엔 아직 이른 감이 있다고 말하며 올해 연준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라파엘 보스틱 총채는 9월 기준금리 인상 폭에 대해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지만 지표가 강하고 인플레이션 완화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면 다시 한번 0.75% 포인트 인상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정도로만 언급했습니다.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의 주장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로 비슷한 논조로 이야기를 했는데, CNBC와의 인터뷰를 진행한 에스더 조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광범위한 수준이며 아직 연준이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는 상태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9월 금리 인상폭에 대해 에스더 조지 총재는 아직 중요한 지표들의 발표가 남아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수치를 말하기에는 이르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의 주장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역시 기준 금리에 대해 3.4%를 웃도는 수준까지 인상을 한 뒤 한동안 그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9월 금리 인상 폭에 대해서는 8월 물가지표를 기다린 후 결정하는 것이 맞다는 말을 했습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의 주장
9월 기준금리를 0.75% 포인트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한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올해 금리를 앞당겨 인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며 금리를 3.75%~4%까지 인상할 것에 대한 주장을 지속적으로 반복했습니다.
주요 미국 경제 지표 내용
25일 발표된 미국의 경제 지표는 개선된 수치를 나타내며 시장에 기대감을 안겨주었습니다.
미국 GDP 성장률 개선
올해 2분기 미국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율 -0.6%를 기록했지만 속보치였던 -0.9%보다는 개선된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실업보험 청구자 수 개선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도 전주보다 2천 명 감소한 24만 3천 명으로 집계되면서 2주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습니다. 실업보험 청구자 수의 경우 전문가 예상치인 25만 5천 명 보다 적은 수준이었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 역전 폭 확대
지표 개선에 따라 미국의 10년 물 국채금리는 큰 폭의 하락을 보였으며, 2년 물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보여주며 2년 물과 10년 물 금리 역전 폭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2년 물과 10년 물의 금리 역전은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단기적인 금리 인상을 진행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교육 적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재인 정권의 채무 증가 회복을 위한 24조 규모의 지출 구조조정 단행 (0) | 2022.08.30 |
---|---|
3년째 계속되는 제주항공 유상증자 규모, 원인, 주가 분석 (0) | 2022.08.29 |
주식시장의 태조이방원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엇갈린 분석 정리 (1) | 2022.08.25 |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 40조 투자하여 애리조나 주 공장 2곳 신설 예정 (0) | 2022.08.24 |
한국은행 기대인플레이션 하락 원인 분석 및 주요 소비자 지표 정리 (0) | 2022.08.23 |
댓글